우선변제권3 사례를 통해 알아본 대항력이란? 임대, 임차(세사는 사람)를 준비중이라면, 당연히 알아야할것이 있습니다. 바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 입니다. 우선변제권은 확정일자를 알면서 배운 내용입니다. 2010/08/24 - 사례를 통해 알아본 확정일자란? 앞서 '우선 변제권'의 공식이 뭐라했었죠? 그렇죠. 대항력 + 확정일자 입니다. 그럼 대항력은 뭘까요? 대항력이란? 이미 발생하고 있는 법률관계를 제3자에 대해 주장할 수 있는 효력. 즉, 세입자가 임차권이 등기된 경우에는 집에 대해 법률효과가 발생함. 풀어서 얘기해 보죠. '이미 발생하고 있는 법률관계' -> 임대인과 임차인 관계 '제3자' -> 양수인(집주인에게서 집을 산사람), 은행, 후순위 채권자 등등 즉, 임대차 계약이라는 법률관계를 가지고 제3자에게 권리를 주장할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2010. 8. 24. 사례를 통해 알아본 확정일자란? 글. 칼럼니스트 재무설계사(AFPK) 권혁중 신혼을 즐기고있는 A씨(32살, 서울)에게 갑자가 날벼력같은 애기가 들려옵니다. 세들어 사는 집이 경매에 넘어간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뭔일인가 봤더니 집주인이 여러 은행에서 담보대출을 받았는데 못갚게 되자 한 은행에서 경매를 준비중이라는겁니다. 막상 자기에게 이런 일이 닥칠거라곤 생각도 못했던 A씨. 그제서야 경매가 어떻게 이뤄지고, 경매가 진행되면 전세금이 어떻게 되는지, 돌려받을수있는건지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알아보니, 대항력과 확정일자가 중요하다고 하는데, 이사를 했고 전입신고를 했으니 대항력은 있는데, 확정일자를 받아놓지 않았습니다. 이사를 할때 주위에서 확정일자를 받아야한다고 했는데, 그게 뭔지 몰라서 그냥 동사무소를 나온것이 화근이었죠. 결국 A.. 2010. 8. 24. 집주인에게서 전세금을 보호하는 방법 글. 칼럼니스트 재무설계사(AFPK) 권혁중 저번 '하우스 푸어 구제해야 하는가?' 에 대한 짧은 글이 Daum view best 가 된후 많은 네티즌들이 댓글이나 메일로 개인적인 생각과 앞으로의 부동산 방향에 대해서 많은 얘기들을 나눠 주셨습니다. 정말 나라를 생각하시는 분도 계셨고, 서민들을 위한 정책이 더 있어야한다는 견해도 밝혀주셨습니다. 그리고 저에게 대다수의 서민들을 위해서 좋은 글을 많이 써달라는 격려와 당부도 주셨습니다. 이글을 통해 다시한번 대한민국 네티즌여러분께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 하우스 푸어에 대한 글을 쓰고 많은 분들이 하우스 푸어에대한 의미를 알려주셔서 감사하다고 댓글을 주셨는데, 전 포스팅에이어 하우스 푸어로 인해 부동산 시장에서 일어날수 있는 일들을 말씀드릴려고 합니다. .. 2010. 8.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