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부동산11 전세세입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 등기부등본 편 글. 칼럼니스트 재무설계사 권혁중 세입자를 위한 등기부등본 보는법 전세를 준비하는 세입자들에겐 등기부등본이 지도와 같습니다. 왜냐하면, 계약은 언제해야 좋을지, 물건(집)에 권리관계가 이상이 없는지, 내가 사기를 당하고 있는건 아닌지 확인할수있기 때문입니다. 이글은 예전 "등기부등본 보는법" 글에 이어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등기부 보는 방법은 아래의 글을 먼저 읽어보시면 개념과 의미를 정확하게 알수 있습니다. 2010/04/14 - 20,30대 부동산 등기부등본 보는법 이제 시작하는글은 사례중심으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그동안 많은 분들이 질문과 칭찬을 주셨는데, 그중 제일 많은 칭찬은 "어렵지 않게 쉽게 풀이해주셔서, 이해하기 쉬웠다"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네티즌 분들의 칭찬에 보.. 2011. 4. 11. DTI 풀다! 투기로 돈을 버는 미친 세상! 오늘 DTI를 자율화 방침이 나왔습니다. 강남 3구를 제외한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의 DTI 상한 규제가 한시적으로 해제된다고 합니다. 수도권 가구 91%에 대한 DTI 규제는 내년 3월까지 사실상 폐지되고 강남3구만 40%의 DTI가 적용됩니다. 무주택자나 1가구 1주택자가 이 지역에서 9억 원 이하 주택을 살 경우, 내년 3월까지 금융회사가 DTI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습니다. DTI는 Debt to Income의 약자로 소득대비 대출금의 비율을 말합니다. 즉, 연봉이 얼마이냐에 따라 그비율대로 부동산 대출을 해주겠다는 말인데, 강남3구를 제외한 곳이 자율화 되었다는건, 직업이 없고, 소득이 없어도 은행에서 제시사는 조건만 충족되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그동안 우리나라가 미국의 서브프라.. 2010. 8. 30. 전세값이 심상치 않다. 전세값의 양극화 제가 아는 지인은 현재 잠실 30평대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계십니다. 근데 얼마전 그러시더군요. 집주인이 전세금으로 1억을 올려달라고. 그래서 고민하고있다고. 그 얘기를 듣고 참. 1억이라는 돈이 쉽게 왔다갔다 하는구나. 말이 1억이지. 이거 모을려면 한달에 1백만원씩 저축한다 해도 10달이면 천만원, 100달이면 1억, 100달이면 대략 8년 3개월이죠. 한달에 2백씩 저축하면 4년 그럼 한달에 4백씩 저축하면 대략 2년 걸리네요. 결론은 한달에 4백씩 저축하고 그돈으로 전세1억 오른거 내야했다는 소리인데, 이거 한달에 생활비,경비 등등 빼고 순수하게 4백씩 저축할수있는 능력가지신 분이 몇몇이나 계실까요? 물론 전문직 고소득자야 가능한 얘기지만 평균 근로소득자가 모을려면 참 힘들죠. 한.. 2010. 8. 27. 사례를 통해 알아본 대항력이란? 임대, 임차(세사는 사람)를 준비중이라면, 당연히 알아야할것이 있습니다. 바로 대항력과 우선변제권 입니다. 우선변제권은 확정일자를 알면서 배운 내용입니다. 2010/08/24 - 사례를 통해 알아본 확정일자란? 앞서 '우선 변제권'의 공식이 뭐라했었죠? 그렇죠. 대항력 + 확정일자 입니다. 그럼 대항력은 뭘까요? 대항력이란? 이미 발생하고 있는 법률관계를 제3자에 대해 주장할 수 있는 효력. 즉, 세입자가 임차권이 등기된 경우에는 집에 대해 법률효과가 발생함. 풀어서 얘기해 보죠. '이미 발생하고 있는 법률관계' -> 임대인과 임차인 관계 '제3자' -> 양수인(집주인에게서 집을 산사람), 은행, 후순위 채권자 등등 즉, 임대차 계약이라는 법률관계를 가지고 제3자에게 권리를 주장할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2010. 8. 24. 이전 1 2 3 다음